먼저 나의 지갑을 조회 하는 방법은 웹 조회와 앱 조회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웹에서 지갑 잔액을 조회 하려면 http://etherscan.io/address/공개키 또는 http://ethplorer.io/address/공개키 로 할수 있습니다.
앱에서 지갑 잔액을 조회 하려면 스마트폰의 앱스토어나 플레이 스토어 에서 Ethereum Block Explorer 를 설치하여 보면 됩니다.
웹지갑( http://myetherwallet.com )에서 지갑을 처음 개설하면 키파일(비밀번호와 함께 사용),공개키(Public Key),개인키(Private Key)가 주어집니다.
웹지갑은 지갑 개설 및 받기, 금액조회용으로 사용하고 보내기는 지양하는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보낼때 해킹 당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웹지갑에서 이더를 송금할 필요가 있을때는 개인키로 열지 말고 키화일과 비밀번호로 지갑을 열어 보내는것이 좋습니다.
이더를 송금할때는 스마트폰의 앱(imToken)을 사용하는것이 안전합니다.
웹지갑의 개인키로 동기화 시켜서 앱지갑을 여는 비밀번호와 함께 사용하는것 입니다.
웹과 앱지갑을 동기화 시키는 순서는 앱을 설치한후 Profile->Manage Wallets->Import->웹의 개인키를 입력하면 웹지갑과 앱지갑이 동기화 되고 지갑을 열어 송금할때는 자신이 입력한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보내면 됩니다.
'Bit and Coin > Ethereu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리움 지갑(3)-Sync (0) | 2017.12.24 |
---|---|
이더리움 지갑(1) (0) | 2017.12.20 |
MyEtherWallet 사용 가이드(3) - ENS소개 (0) | 2017.12.16 |
MyEtherWallet 사용 가이드(2) (0) | 2017.12.16 |
MyEtherWallet 사용 가이드(1) (1) | 2017.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