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설정에서 포트포워딩을 알기위해서는 인터넷프로토콜(TCP/IP)의 구조를 알아야한다.
인터넷을 연결하기위한 주소는 응용프로그램주소+IP주소(도메인주소)+포트주소로 표시된다.
인터넷이 연결되기위해서는 웹서비스 프로토콜과 도메인주소(IP주소)와 포트주소가 일치하여야하는데
여기에서 도메인주소(IP주소)(네트워크계층)는 목적지에 해당하고 포트(전송계층)는 목적지에 가기위한 연결통로로 보면 된다.
http:/www.abc.com:80으로 표기해야하지만 표준이므로 생략하여 abc.com으로 표기하는것이다.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의 계층 구성은 다음과 같다.
웹서버서비스는 http://www.abc.com:80 -> http://abc.com FTP서비스는 fttp://abc.com:21-> ftp://abc.com 으로 통상 표기한다.
대표적인 포트번호는 다음과 같다.
* 추가로 TCP22 는 SSH 서비스로 Telnet의 보안성 보완으로 사용되고 있다.
NAS를 사용하기위해서 외부주소를 n.abc.com으로 설정한다면 http://n.abc.com:80 으로 웹서비스를 받아야 할것이다. 여기에서 http라는 웹서비스를 받으려면 n.abc.com 이라는 IP주소(도메인주소)을 받기 위하여 DDNS설정을 하여야 하고 80포트가 열려있어야 한다. 80번 포트는 통신회사에서 기본적으로 열어주어야하고 이것을 받는 공유기도 80번 포트를 열어주어야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해외사이트 http://yougetsignal.com/tools/open-ports 나 국내사이트 http://check.psinno.co.kr 를 이용할수가 있다. 여기에서 IP주소(도메인주소)의 포트가 열려있는지 닫혀있는지 확인할수 있다. 아래와 같이 Remote Address에 n.abc.com을 넣고 Port Number에 80을 넣고 Check를 클릭하면 바로 확인 할수 있다. 12.146.241.174는 현재 접속되어있는 IP주소를 나타낸것이다. 우측에는 표준포트(common ports)를 표기해 놓았다.
현재 시놀로지나스의 포트포워딩은 admin(5000),web(80),ftp(21),ssh(22),webdav(5005),filestation(7000),torrent(6881)로 열어 놓게 되어있다. 디스크스테이션의 활성화로 자동 열리도록 되어 있다.
제어판에서 웹서비스의 웹스테이션을 활성화하면 web폴더가 자동생성되면서 index.html이 생성되어 DDNS주소로 열리도록 되어 있다. 예를들어 n.abc.com(:80)으로 열리지 않는다면 n.abc.com 도메인주소가 80로 열려있는지 체크하여야한다. 만약 닫혀있다면 통신사에서 닫았든지, 공유기에 80포트가 닫혀있든지 확인해 보아야한다.
공유기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지오(ZIO)공유기의 경우 80포트를 여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http://192.168.10.1->NAT->가상서버설정->임의이름입력, DMZ의 IP주소 입력, 프로토콜http선택후 추가->저장-> 완료후 체크 확인해본다. (IPtime의 경우 80가 막혀있다면 외부포트를 5000, 내부포트를 80으로 포트포워딩 설정한다.)
공유기에서 80포트가 열려 있고 나스에서 웹스테이션이 활성화 되어 있다면 http://n.abc.com이 실행될것이다.
'N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놀로지NAS 활용(총괄) - 세팅후기,통합데이타관리 (0) | 2013.04.23 |
---|---|
NAS의 CMS설치하기 (0) | 2013.04.17 |
NAS의 활성화와 리디렉트 (0) | 2013.04.15 |
NAS의 DiskStaion사용해보기 (0) | 2013.04.12 |
NAS의 DDNS설정하기 (0) | 201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