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부,성자,성령은 셋이지만 하나인 삼위일체와 같이 계정(Account),지갑(Wallet),디앱(Dapp)은 셋으로 나누어 있지만 하나로(Sync)움직인다. 즉 지갑안에 계정과 디앱이 함께 있는것(Sync)이다.
PC작업시 에서는 크롬확장팩 지갑(metamask, kaikas)계정으로 디앱(http://dapp.abc.io)과 연결이 되어 사용하고, 모바일작업시 에서는 앱지갑(Dcentwallet)계정의 Dapp주소와 연결되어 모바일앱지갑 에서 사용한다. 이때 표준이 되는 모바일 앱지갑 Metamask와 Kaikas에 크롬 확장팩 지갑계정을 추가(import)하여 사용할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앱지갑 Dcentwallet에서는 개인키를 주지 않기 때문에 추가하여 사용할수가 없다.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백업키나 하드지갑(이더리움지갑,클레이지갑:28,000원씩 판매)을이용하는 길밖에는 없다.
Dcentwallet은 이더리움과 클레이의 DeFi를 위한 전형적인 모바일앱지갑 이다.
개인키(Private key)를 주지 않고 백업키와 하드지갑으로 대신하며, 외부지갑을 추가(import)할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Discovery 메뉴에서 지갑과 디앱을 연결(Sync)시켜준다. 여기에서 덱스(스왑)서비스인 klayswap.com은 베타버전이라 앱지갑은 아직 지원하지 않고 PC의 크롬 확장팩 Kaikas에서만 가능하다. 또한 스테이킹 서비스인 klaystation.io는 카카오톡지갑 Klip과 연결시켜주지만, 작동이 잘되지 않는편이다.
결국은 Sync의 실제는 PC나 스마트폰에서 지갑을 통하여 웹주소로 된 디앱에 연결하여 작동되는것이다.
dex,Staking등 많은 카테고리의 디앱들은 계정과 함께하는 지갑을 통하여 움직인다.
PC에서는 크롬확장팩으로 Metamask,Kaikas,Scatter을 통하여, 스마트폰에서는 Dcentwallet,Tokenpocket,Tronwallet을 통하여 이더리움,클레이튼,이오스,트론 플랫폼 코인과 토큰의 디앱들이 연동(Sync)되어 움직이는것이다.
'스마트미션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디파이 혁명(8)-StableCoin (0) | 2020.11.22 |
---|---|
블록체인 디파이 혁명(7)-Account (0) | 2020.11.21 |
블록체인 디파이 혁명(5)-Klay (0) | 2020.11.15 |
블록체인 디파이 혁명(4)-Ethereum (0) | 2020.11.15 |
블록체인 디파이 혁명(3)-EX (0) | 202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