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스토로지는 웹서버와 웹하드로 구분할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웹서버는 ftp, 웹하드는webdav를 사용한다.
아이패드로 웹서버를 사용하려면 FTPOnTheGo(유료앱)와 SSH terminal(무료앱)를 사용할수 있다.
웹하드를 사용하려면 무료로 제공되는 Box, GDrive, DSfile 를 사용할수 있다. 또한 총괄설정하여 사용할수 있는 무료앱 WenDAV nav를 사용할수 있다.
1.웹서버(Web Server)
웹서버는 무료호스팅으로 닷홈(http://dothome.co.kr), 유료호스팅으로 카페24(http://cafe24.com), 나스로는 시놀로지나스(http://synology.co.kr)를 정하였다.
FTP로 서버접근시에는 닷홈은 ID.dothome.co.kr 카페24는 도메인주소 포트:21 은 생략가능함. 시놀로지나스는 DDNS주소에 포토는 9921 사용하여야한다.
SSH(Telnet)로 서버접근시에는 닷홈은 지원하지 않으며, 카페24는 도메인주소 포트:22 는 생략가능함. 시놀로지는
DDNS주소에 포토:22 생략가능하다.
2.웹하드(Web Hard)
웹하드는 50기가 무료제공하는 박스넷(http://box.net), 구글문서도구가 포함된 5기가무료제공하는 구글드라이브(http://drive.google.com), 4TB가 장착된 시놀로지나스(DS21j) http://n.kwma.kr 와 2TB가 장착된 LG나스 http://kwma.lgnas.com 으로 사용할수 있다.
WebDAV로 웹하드에 접근시 박스넷은 box.net , 구글드라이브는 dav-pocket.appspot.com/docso , 시놀로지나스는 n.kwma.kr:5005 를 사용하여야한다.
이때 PC에서는 http://netdrive.net 에서 NetDrive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정하면 되고
아이폰에서는 WebDAV nav 무료앱을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정하면 된다.
3.로컬하드(Local Hard)
아이패드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PC에 원격접속하여 사용하면 아이패드로 하지못하는 플래시,토렌토,인터넷쇼핑,인터넷뱅킹등을 할수있다. 특히 아이패드에서 한페이지가 넘는 티스토리글을 수정하려면 스토롤이 안되어서 도저히 글을 수정할수가 없다. 이럴때 PC를 원격접속하여 사용하면 스트롤문제가 해결된다. 그리고 아이패드에서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My Page Order 사용시 PC에서만 할수 있는 드래그인앤드롭도 할수 있다. 클라우드 차원에서 PC원격접속은 프로그램사용뿐만 아니라 로컬하드의 콘텐츠관리를 할수 있다. PC에 PocketCloud서버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윈도우 사용자계정을 만든상태에서, 아이패드무료앱 PocketCloud를 설치하면 구글계정만으로 자동 연결이 가능하다.
이때에 아이폰무료앱 PocketCloud Explore를 추가 설치하면 로컬하드를 관리할수 있다.
PocketCloud의 공식홈페이지는 http://wyse.com/pocketcloud 이다.
PocketCloud사용법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eeks219&logNo=30112945322
결론적으로 온라인에서 진행되는 웹스토로지의 웹서버와 웹하드를 이해하려면 오프라인에서 진행되는 윈도우 PC를 생각하면 된다. 웹서버는 C 드라이브, 웹하드는 D드라이브, SSH는 보조프로그램의 명령프롬프트로 이해하면 된다.
c드라이브에는 윈도우 운영체제가 있고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수 있지만,D드라이브는 자료만 보관할수있고, 명령프롬프트는 Dos에 접근할수있는 터미널이라고 볼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이패드로 할수 없었던 PC작업을 원격접속프로그램과 앱을 통하여 할수 있게 된것이다.
결국은 인터넷상에서의 서버컴퓨터와 클라이언트컴퓨터의 관리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N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ology NAS 활용하기(1) (0) | 2012.11.01 |
---|---|
NAS의 서버루트 찾기 - SSH (0) | 2012.09.11 |
시놀로지나스의 포트포워딩 (0) | 2012.09.02 |
NAS로 자료공유 네트워크 구축하기(1) - NAS계정할당 (0) | 2012.09.02 |
NAS와 UPS (1) | 2012.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