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앱봇 모자이크 서비스(WAB Mosaic Cloud 서비스)란 밴드,모두,싱크,텔레그램봇,시놀로지나스등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것을 말합니다. 예를들면 밴드,모두,싱크를 연결하여 한선지포 행사 진행에 효과적으로 사용할수 있습니다밴드는 회원관리용으로, 모두는 자료관리용(백업)으로,싱크는 자료공유 및 협업용으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먼저 싱크를 중심으로 정리 해보면 싱크(Sync)는 특성상(24시간가동,용량무제한,항시인터넷연결)시놀로지나스에서 패키지로 사용되는 Resilio Sync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Resilio Sync는 분산네트워크(p2p)토렌트방식으로 동기화 시키는 BitTorrent Sync의 새로운 버전 입니다. 우리가 싱크를 사용해야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장비를 동기화 시켜서 네트워크를 통한 자동 공유 및 협업을 하기 위한것 입니다. 이번에 BitTorrent Sync 에서 Resilio Sync로 바뀌면서 암호키,QR코드에 링크주소를 추가 되어서 보다 손쉽게 웹으로 폴더,화일을 접근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두가지 형태의 권한(읽기 전용과 읽기및쓰기)을 부여 할수 있으며, 내가 초대한 새피어를 내가 승인하게 할수도 있고, 링크주소 사용 시간과 만료일을 정할수 있습니다. 새피어를 초대할수 있는 방법은 세가지(암호키,QR코드,링크주소)가 있지만 링크주소를 단축주소(goo.gl또는 bit.ly)로 만들어 사용하는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암호키는 앱을 설치한후에 사용 할수 있고, QR코드는 스캐너로 읽어 들여야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한선지포 행사개요 및 설명 자료(pdf)를 보려면 싱크 주소(http://bit.ly/hmlf2017)를 상대방에게 보내어 주소 클릭과 동시에 PC의 프로그램(Resilio-Sync.exe)을 받아 설치하거나 스마트폰의 앱(Resilio Sync)을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습니다.

두가지 형태의 권한(읽기 전용과 읽기 및 쓰기)을 부여할때 알고 있어야 할점은 읽기전용이라함을 동기화 폴더에 자료를 읽기만 할수 있고 넣을수 없는(444권한부여)것이 아니라, 동기화 폴더에 넣을수 있지만 상대방과 공유되지 않는(644권한부여)다는 것입니다. 읽기 쓰기 권한을 부여하면 장비가 한몸의 형태로 되어 자료 자동복사 및 삭제가 함께 진행되지만, 읽기전용은 권한부여한 사람의 자료만 부분적으로 공유되고 자신의 자료를 공유되지 않는다는것입니다.

또한 싱크에서 고려할 사항은 자료의 용량 입니다. 문서,사진은 저용량 이지만, 영상은 고용량을 요구함으로 나스를 이용할때는 나스의 관리자 주소나 사용자 링크주소를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여기에서 사용자 링크주소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실행 시켜주지 않고, 동기화시 용량문제, 인터넷 데이타 사용 문제로 인하여 사용자의 경우 관리자 링크주소로 싱크을 활용하여 제공해 주는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나스 web폴더 밑에 sync폴더를 만들고 그밑에 synchmlf2017ment폴더를 만들었다면 사용자에게 읽기및 쓰기권한을 부여후 ‘http://나스주소/sync/synchmlf2017ment/화일명으로 싱크 주소와는 별개로 관리자 링크주소로 누구에게든지 공유할수 있습니다.

WAB 모자잌 클라우드 서비스로 서로 연결하여 만들수 있는 대표적인 서비스로 웹은 모두

앱은 밴드 봇은 텔레그램을 사용할수 있고 사용자의 장비를 동기화하여 클라우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자료를 협업 및 공유하려면 서버(Synology)나 클라우드(Dropbox)와 싱크(ResilioSync 또는 Syncthing)을 함께 사용하할수 있습니다.


< 실제 활용사례 >

1. 한선지포 행사를 위한 WAB(웹앱봇)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사례

   밴드 : http://band.us/@kmlband

   모두 : http://kml.modoo.at

   싱크 : http://bit.ly/hmlf2017

2. 교회 할렐루야찬양대 찬양연습을 위한 WAB(웹앱봇)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사례

   밴드 : http://band.us/@hal

   모두 : http://juh.modoo.at 

   텔램 : http://bit.ly/juanhal

   싱크 : http://bit.ly/synchal2018

3. GMS 선교사백서를 위한 WAB(웹앱봇)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사례

  텔램 : http://bit.ly/gmsmission

  싱크 : http://bit.ly/syncgms

Posted by jangw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