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디바이스OS로서 윈도우(Windows),맥(OSX),구글(Chrom),리눅스(Ubuntu)를 들수 있다.

이들은 저마다 모바일OS를 내놓았는데 Windows PhoneiOSAndroidUbuntu Mobile이 그것이다.

이를 사용할수 있는 기기로는 PC와 Mobile과 USB메모리 이다. (참고: http://hrmac.tistory.com/202)


< USB메모리 파티션 나누기>

웹서버와 웹하드는 온라인상태에서 클라우드형태로 진행될때 사용된다면, 로컬서버(운영체제)와 로컬하드는 오프라인상태에서 직접 프로그램과 데이타를 관리할때 사용된다. 로컬하드는 PC나 노트북내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고정식드라이브(SATA방식)과 휴대용하드나 USB메모리로 사용되는 이동식디스크(USB방식)으로 나눌수가 있다. 

파티션은 하드를 분할하는것으로 하나의 하드를 여러개의 하드로 인식하게 할때 사용 한다.

 

고정식드라이브를 파티션하는 이유는 따로 데이타를 보관해서 보호하고자 할때 사용되고, 시스템백업용 데이타를 보관하고자할때 사용된다. 

이동식디스크를 파티션하는 이유는 고용량USB메모리를 데이터보관용,시스템백업부팅용,인터넷뱅킹인증서보관용,OS(ChromOS, Ubuntu)부팅용 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파티션은 고정식드라이브만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식디스크는 드라이브형태로 바꾸기전에는 파티션을 할수가 없다. 이동식디스크 파티션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USB메모리스틱를 PC의 하드와 같이 파티션을 하기 위해서는 USB메모리카드를 이동식디스크에서 고정식드라이브로              

인식시켜야한다. 다시말하면 Micro Drive로 만들어야한다. 마이크로 드라이브로 만들어주는 히타치 드라이버를 이용하면 된다. 

레지스트리 수정->마이크로드라이브 선택-> 드라이버업데이트 순으로 해주면 된다.

준비물은 USB메모리스틱과 Hitachi_Disk_Driver 이다.(Hitachi_Disk_Driver 다운로드하기 "여기"클릭)


1.USB메모리스틱를 PC에 연결한후 시작버튼의 실행빈칸에 "regedit"를 넣은후 확인은 클릭하면 레지스트리가 뜬다.

"키이름복사"클릭후 메모장에 붙이면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Enum\USBSTOR\Disk&Ven_SanDisk&Prod_Cruzer&Rev_1.10" 가 되는데 이중 필요한 부분은 "USBSTOR\Disk&Ven_SanDisk&Prod_Cruzer&Rev_1.10" 이다.


2. Hitachi_Disk_Driver 를 다운로후한후 압축을 풀고 cfadisk.inf 화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다음 부분을 수정한후 저장한다. ("IDE\DiskIBM-DSCM-11000__________________________SC2IC801"을 "USBSTOR\Disk&Ven_SanDisk&Prod_Cruzer&Rev_1.10" 로 8줄을 전부 바꾼후 저장한다.)


3. 드라이버 설치하기 위하여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한다.

탐색기에서 이동식디스크 선택->마우스오른쪽메뉴의 속성->하드웨어->이동식디스크선택후 속성클릭->드라이버->드라이버 업데이트->목록 또는 특정위치에서 설치(고급)->검색안함,설치할 드라이버를 직접 선택후 다음->디스크있음->찾아보기->키값수정한 Hitachi Microdrive선택 다음->경고무시하고 계속 클릭->마침

4. 파티션을 나누기 위하여 내컴퓨터의 관리도구를 사용한다.

바탕화면의 내컴퓨터아이콘 선택후 마우스오른쪽메뉴 "관리" 클릭->저장소의 디스크관리 ->포맷후 파티션 설정한다.


위그림은 USB메모리스틱(16GB)를  4개의 파티션을 나누었다.

8.07GB - 데이타보관용 , 3.91GB - 우분투설치용, 1.95GB - 크롬OS설치용, 996MB - 시스템백업 부팅용


출처 : http://thinknote.tistory.com/27

Posted by jangw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