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접속은 공유기와 나스를 연결하는 내부IP(192.168.0.x )와 DDNS서비스를 통하여 도메인 주소로 외부 접속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PC와 연결된 나스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스마트기기앱을 사용하여 나스와 연결된 PC를 원격 관리할수 있다.
DDNS설정 순서는 다음과 같다.
1.Asistant앱이나 http://find.synology.com 웹으로 공유기와 나스의 내부IP주소(192.168.*.*)를 검색한다.
2.공유기 관리자화면에서 나스의 내부IP주소를 포트포워딩(192.168.*.*)포트:5000,DMZ 설정(192.168.*.*)을 한다.
3.ipTIME공유기에서 자체ddns등록(http://ID.iptime.org) 또는 시놀로지나스 자체ddns등록(http://ID.synology.me)후 정상가동 시켜 놓는다. 그러면 ipTime공유기로 들어온 유동IP를 자동으로 DMZ로 열어놓은 나스의 내부IP주소와 연결하여 정해준 포트포워딩(192.168.*.*, 포트:5000)시켜놓으면 등록한 DDNS주소로 자동 바꾸어준다.
따라서 공유기에서 만들거나 나스에서 만들어놓아 정상가동되는 http://ID.iptime.org ,http://ID.synology.mee 모두 사용할수 있고 이 둘중에 하나를 호스팅업체 서버(카페24)에 리디렉트 시켜놓으며(http://n.abc.com)세가지 모두 외부주소로 사용 할수 있다.
4.나스 접속불량시 원격접속하여 관리할수 있는 AVstreamer앱을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에 설치하여 나스와 연결된 PC본체의 AVstreamer앱을 통하여 PC화면에서 응급조치할수 있다.
'N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색기에서 나스 데이타 관리하기 (0) | 2015.01.15 |
---|---|
PC원격접속 없이 공유기와 나스의 내부주소 변경시 조치방법 (0) | 2015.01.14 |
NAS의 기본적인 장비 (0) | 2014.11.12 |
시놀로지NAS 활용(Disk Station) (1) | 2014.02.18 |
시놀로지나스 활용(총괄)과 DS사용자 설정방법 (1) | 201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