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 데이타에 접근하려면 웹주소 (http://DDNS주소/file) 나 DSfile앱을 사용하면 되지만

PC사용시에는 탐색기에서 로컬하드와 같이 쓰는것이 가장 편리하다.

이를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Netdrive인데 구버전(v1.3.8)이 무료이고 인터페이스도 간단하여 이것을 사용하여 ftp,webdav로 접속한다. Netdrive 사용시에는 NDSites.ini화일로 정보를 저장해서 불러오기로 사용하는것이 좋다. 그러면 호스팅,클라우드,NAS 서버를 일괄관리할수 있기 때문이다.(이때 고급에서 인코딩UTF-8 설정은 필수사항이다)

탐색기에서 바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연결하여 사용하려면 레지스트리를 변경하여 SSL(인증)로 막아놓은것을 해제하여야만 Webdav프로토콜로 나스에 접근할수 있다. 사용 순서는 다음과 같다.

(1)레지스트리 편집(윈도키+R에서 regedit입력후 엔터)->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WebClient\Parameters\BasicAuthLevel 값이 기본1을2로 변경 (SSL해제됨)

* 참고로 각 키값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0 - Basic authentication disabled

1 - Basic authentication enabled for SSL shares only

2 or greater - Basic authentication enabled for SSL shares and for non-SSL shares

(2)윈도우재부팅후 탐색기->네트워크->마우스오른쪽메뉴에서 네트워크드라이브 연결-> 드라이브선택,폴더:http://DDNS주소:5005->로그인->완료

Posted by jangw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