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파이2.0은 사용자의 유동성(LP) 가치를 NFT화(?)하여 자사의 거버넌스 코인으로 스테이크 시키는것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이더리움 기반의 올림푸스다오, 아발란체 기반의 원더랜드, 클레이튼 기반의 크로노스다오를 들수 있다. 여기에서는 글로벌 디파이2.0 으로 원더랜드와 국내 디파이2.0 으로 크로노스다오 실전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1. 거래소 : 코인원
먼저 시작하려면 원화로 아발란체 코인(avax)와 클레이튼 코인(klay)을 구매 할수 있는 거래소(코인원)을 이용하여야한다. 물론 클레이튼 코인(klay)을 가지고 있다면 코인원으로 보내어 매도하여 아발란체 코인(avax)을 매수 할수도 있다.
실전연습으로 klay를 코인원에 보내어 매도한후 avax를 매수하여 지갑으로 출금해 보았다.
현시세로 실전 수량 : 120klay -> 1.4168avax (출금수수료 : 0.1avax) -> 1.3147avax(지갑으로 전송비:0.0102avax)
2. 지갑 : Klip, AVAX지갑, 토큰포켓
디파이를 하기 위해서는 거래소에서 지갑으로 출금을 하여야한다.
klay는 카카오톡 지갑인 klip으로 보내거나 메타마스크 모바일앱지갑으로 보낼수 있다. 메타마스크 앱지갑을 사용하려면 네트워크 추가를 하여야하는 번거로움과 디앱과 연결하여 사용할때 매끄럽지 못한 관계로 여기에서는 토큰포켓을 이용하였다.
avax는 아발란체 네트워크 지갑(http://wallet.avax.network)에서 X체인지갑 주소를 만들어서 거래소에서 출금하여야한다. 그리고 C체인 으로 이동시킨후 토큰포켓(C체인)으로 보내야한다.
코인원 출금 에서 아발란체 네트워크 지갑의 X주소로 1.3168avax을 보낸후 C체인으로 avax코인을 이동 시켰다.
아발란체 네트워크 지갑 메뉴 에서 cross chain을 선택한후 X체인 에서 C체인으로 수량(max 클릭)입력후 컨펌 과 전송으로 이동 시켰다. 이때에 전송료가 0.0013avax가 빠져나갔다.
아발란체 네트워크 지갑 메뉴 에서 send을 선택한후 수량(max 클릭)입력후 토큰포켓 지갑주소를 입력한후 컨펌 과 전송으로 이동 시켰다. 이때에 전송료가 0.00065avax가 빠져나갔다. 최종 토큰포켓에 들어온 수량은 1.3147avax 이었다.
3. 디앱 : 클레이스왑, 크로노스다오, 트레이더조, 원더랜드
디파이를 하기 위해서는 지갑과 디앱을 연결하여야한다. 여기에서는 트레이더조와 원더랜드를 사용한다.
거래소(cex)에서는 원화(krw)와 코인을 교환(swap)하지만, 디파이(dex)에서는 코인과 코인을 교환한다.
클레이튼 기반은 클레이스왑(http://klayswap.com)에서 코인과 코인을 교환 하고
아발란체 기반은 트레이더조(http://traderjoexyz.com)에서 코인과 코인을 교환 한다.
크로노스다오의 거버넌스코인은 krno 이고, 원더랜드의 거버넌스코인은 time 이다. 스테이크(mint3.3)하면 skrno ,memo로 바뀐다. 유동성LP는 스테이블코인과 함께 만드는데 kdai, mim 코인을 주로 사용한다.
트레이더조 에서 trade의 swap에서 1avax을 0.0302time으로 바꾸었다. 나머지 0.3147avax는 전송비로 사용해야하기 때문이다. 이때 수수료가 0.0102avax가 들어가 지갑에는 0.3088avax가 남았다.
클레이튼 기반 디파이2.0 디앱은 크로노스다오(http://app.kronosdao.finance)이고,
아발란체 기반 디파이2.0은 원더랜드(http://app.wonderland.money)이다.
원더랜드에서 LP(time+mim)을 사용하기에는 너무 적은 금액이라 바로 스테이크(mint3.3) 시켰다.
0.0302time을 0.0303memo로 스테이크 시켰다. 이때 트랙젝션비(전송비)로 0.006avax가 빠져나갔다.
이후 리베이스시간(하루3번)에 복리이자가 정산되면서 수량이 들어갈것이다.
'디파이미션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디파이2.0 실전(3) (1) | 2022.01.15 |
---|---|
블록체인 디파이2.0 실전(2) (0) | 2022.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