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가동시키는 개인서버 NAS와 인터넷PC와 공유기를 UPS(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연결하여 사용 할때 공유기(iptime),나스(synology),PC(windows)의 원격접속에 대하여 알아보자.


1.공유기를 외부주소(DDNS)로 원격접속하여 관리자화면에 직접 접근할수 있다.

  http://ID.iptime.org:5555(임의포트)

2.나스를 외부주소(DDNS)로 원격접속 할수 있다.

  http://ID.iptime.org:5000(시놀로지 웹스테이션 포트) ->호스팅에서 Cname추가로 홈페이지주소로 바꿀수있음

3.PC를 외부주소(DDNS)로 원격접속 할수 있다.(이때 WOL기능로 PC를 켤수 있다)

  ftp://ID.ipdisk.co.kr:58504(자동설정포트)


공유기 관리자화면에 원격접속하면 내부IP확인이 가능하고, 각종 서비스기능을 설정할수 있다.

나스의 외부주소(호스팅업체의 cname추가)로 ftp,webdav,ssh 프로토콜에 따른 접속이 가능하다.

PC접속은 ipdisk서비스(FTP)에 의한 Netdrive로 가능하며, WOL(PC켜기),AVstreamer앱(PC끄기)을 사용 할수있다.


* 원거리 접속은 DDNS서비스에 의한 외부주소로 가능한데,

  iptime공유기의 ID.iptime.org 와 ID.ipdisk.co.kr를 무료제공 받을수 있다.

* 근거리 접속은 같은 와이파이,블루투스,NFC 에 의해서 가능하다.


디바이스(device:장비)에 의한 원격접속이외에 인터넷(PC,Mobile)에의한 원격접속은 웹서비스에 의한것이다.

호스팅(ftp)을 포함하여 클라우드(webdav) 서비스가 여기에 해당한다고 볼수 있다.

홈페이지 운영을 위한 호스팅(cafe24),자료보관을 위한 클라우드(dropbox,googledrive---)


결론적으로 원격접속을 위한 장비(device) 웹서비스(cloud) 모두가 NAS Cloud에 속한것이라고 본다.

Posted by jangw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