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Synology)와 공유기(IPtime)의 내부주소를 확인하는 방법 세가지 와 외부주소를 만드는 방법 세가지는 다음과 같다. 이중에 내부주소를 확인하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공유기의 관리도구에서 하는것이다. 

공유기에서 나스와 공유기가 연결된 IP주소를 확인후 바로 포트포워딩과 DMZ 설정 작업을 할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안정된 외부주소는 나스에서 제공하는 DDNS주소(http://ID.synology.me)를 사용한후 호스팅업체의 나의 도메인 주소로 별칭(cname)를 추가하여 주소를 리디렉트하여 쓰는것이다. 퀵커넥트ID주소는 리디렉트 사용이 안되고 공유기 DDNS주소는 공유기 원격관리 접속용으로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1. 내부주소 확인방법

시놀로지나스와 iptime공유기가 같은 유무선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 경우 IP주소(내부주소)를 확인할수 있는 세가지 방법이 있다.

  1)PC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find.synology.com (또는 http://diskstation:5000 )로 찾아 낸다.

  2)PC에 프로그램(Synology Assistant)을 나스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받아 설치한후 좌측상단의 "검색"을 클릭하여     찾아낸다. https://www.synology.com/en-us/support/download

  3.공유기의 관리도구->고급설정->네트워크관리->내부 네트워크정보->사용 중인IP주소정보 에서 찾아낸다.


    

2. 외부주소 접속방법

  나스와 공유기가 다른 유무선 네트워크에서 연결할 URL주소(외부주소)를 만들수 있는 세가지 방법이 있다.

  1)시놀로지나스에서 제공하는 퀵커넥트ID(http://quickconnect.to/ID) 주소를 만든다.

    제어판->QuickConnect->QuickConnect활성화 체크->ID입력


    

  2)공유기에서 제공하는 DDNS주소(http://ID.iptime.org)를 만든다.

    공유기의 관리도구->고급설정->특수기능->DDNS설정


  3)나스에서 제공하는 DDNS주소(http://ID.synologu.me)를 만든다.

    나스의 제어판->외부 액세스->DDNS추가


   

 




Posted by jangwg
,